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'검찰 독식' 비판이 나오는데도 이복현 전 검사를 금융감독원장으로 임명했어요? 이유가 뭡니까? <br><br>대통령실 설명대로 말씀드리면 이렇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철학이 법치주의고, 법과 원칙을 실천할 사람으로 검사 만한 직업군이 없다는 겁니다. <br><br>행정고시 출신 관료가 맡던 금감원장에 검사 출신이 간 건 처음인데요, <br> <br>윤 대통령은 인수위 때부터 금감원장은 검사 출신이 해야한다는 생각이었다고 합니다. <br> <br>금감원이 금융계 검찰로 불리는만큼 관련법을 잘 아는 사람이 원장을 맡아야 금융권 카르텔을 깨고 금융 관련 범죄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다, 대통령실은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. <br><br>Q. 정부나 대통령실에 검찰 출신이 많긴 해요. 모두 몇명이죠? <br><br>공정거래위원장 유력 후보인 강수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까지 포함하면 14명 정도 되더라고요. <br> <br>법무부 장·차관처럼 검찰 출신이 가는 게 이례적이지 않은 자리도 있지만, <br> <br>금감원장이나 국무총리 비서실장, 국정원 기조실장은 검찰에서 주로 가던 자리는 아닙니다. <br> <br>거기다 대통령실에도 총무비서관, 인사기획관, 부속실장이 검찰 출신이고 부속실은 행정관들까지 검사 시절 인연 맺은 직원들이다보니 검찰 독식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겁니다. <br><br>Q. 야당 비판이 쏟아지는데요. 민주당에서는 측근 검사들에게 자리 나눠주는 거냐고 비판하더군요. <br><br>윤석열 대통령의 최우선 인사 원칙이 능력인데 왜 검찰 출신만, 그것도 윤 대통령과 인연이 있는 검찰 출신만 그 기준에 들어맞느냐는 건데요. <br><br>민주당은 검찰 출신을 빼면 대한민국 유능한 인물은 씨가 말랐냐고 비판했습니다. <br><br>Q. 대통령실에서는 뭐라고 합니까? 이런 지적을 모를리가 없을텐데, 계속 검찰을 중용하는 이유요. <br><br>윤석열 대통령은 1994년부터 2021년까지 중간에 변호사 생활 1년한걸 빼면 27년 정도 검사 생활을 했거든요. <br><br>국민의힘에 입당한 것도 대선 앞둔 지난해 7월이란 말이에요. 기존 정치권보다는 검찰이 더 가깝고 편할 수 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여권에서는 대통령이 믿고 쓸 인재풀 자체가 좁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<br>반면, 윤 대통령의 한 측근 인사는 대통령의 출신 직역에 따라 그 주변이 달라지는 건 당연하다고 설명하더라고요. <br><br>서울시장 출신인 이명박 전 대통령은 서울시 출신을 중용했고, 정치인인 박근혜 전 대통령은 핵심 보좌관들을 쓰지 않았냐는 거죠. <br><br>Q. 주변에서는 정치권과 거리를 두려는거다 이런 해석도 나오더라고요? <br><br>윤 대통령이 정치권에 들어온건 대선 과정에서 필요했기 때문인데요, <br><br>초반에 자리잡는 과정에서도 정치권내 검찰 출신 인맥, 서울대 법대 인맥 등을 활용했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기성 정치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는듯한 말도 했었죠. <br> <br>[대선 후보 선출 전당대회(지난해 11월)] <br>"정치권 눈치 안보고, 공정한 기준으로 사회 구석구석 만연한 특권과 반칙을 바로 잡으라는 (국민의) 명령입니다. <br>거대한 부패 카르텔을 뿌리 뽑고 기성 정치권의 개혁을 하라는 것입니다." <br> <br>앞으로도 능력만 있으면 검찰 출신 인사를 얼마든지 중용할 수 있다는게 여권 핵심 관계자의 설명인데요, <br> <br>대통령실은 검찰 편중이라는 우려가 많은 만큼 검찰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도 인재를 등용할 거라고 했습니다. <br><br>Q. 찾기 편하고, 쓰기 편해서 중용하는 건 아니면 좋겠네요. 노은지 차장이었습니다.